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공부5

때론 포기할 줄도 알아야한다. 잠이 안와서 유튜브를 뒤적거리다가 알고리즘이 떠서 '2023 고시원 르포' 다큐멘터리를 보게 되었다. 20년 전 희망찬 마음으로 40대에 고시공부를 시작했던 한 고시생의 삶이 나왔다. 그로부터 20년... 그는 백발의 60대가 되었고 여전히 고시원에 살고 있었다. 이 모습에 적잖은 충격을 받았다. 이 분의 모습을 보고 많은 생각이 들었다. 고시공부를 준비해보진 않았지만, 나도 저 분처럼 무언가에 희망을 갖고 계속 준비했던 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저 심정을 너무나 알 것 같기에 공감되는 부분이 많았다. 나는 수능을 3번 봤다. 주변 사람들이 가끔 수능얘기를 하면 나는 아무말도 하지 않는다. 그 시절이 너무 힘들었기에 아무말을 하고싶지 않다. 내신에 비해 수능 점수가 유독 안좋게 나왔다. 10곳 넘는.. 2023. 8. 19.
공무원, 공기업이 안정적이지 않은 이유 공무원 채용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다들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거나, 공기업을 준비하려고 한다. 나의 사촌동생도 거의 2년 만에 9급 공무원 시험에 합격했고, 내 친구 중에는 3년 간 준비해서 힘들게 합격한 경우도 있다. 그렇게 간절하게 준비했던 시험이었는데, 몇년 후 친구에게 물어봤을 때 뜻밖의 대답을 들었다. '그때는 되게 간절하게 준비했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그렇게까지 해서 들어올만한 일은 아닌 것 같아' 열심히 노력한 것에 비해 보상은 턱없이 적고, 인수인계도 잘 되지 않고, 노는 사람은 놀고 일하는 사람만 일하는 공무원 조직에서 살아남기가 여간 힘들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게 되었다. 올해 지방공무원 2만7195명 채용…코로나에 간호·보건직 13.4%↑ [세종=뉴시스] 변해정 기자 = 올해 지방공.. 2021. 3. 1.
계약직에서 정규직 되기5. 아무런 연고없는 대학원에서 살아남기 나는야 이방인 대학원생 내가 대학원을 가기까지 고민했던 이유 중 하나는, 아무런 연고가 없는 곳에서 혼자 살아남을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대학원은 대부분 자대생(해당 학교 학부 졸업생)의 비중이 높고, 특히나 명문 대학원일수록 타교생들은 잘 안 받아주는 그런 문화가 있다고 들어서 엄청 겁을 먹고 있었다. 게다가 타교생은 조교를 구하는 것도 쉽지 않았다. 이력서를 내더라도 자교생이 아니어서 그런지(아니면 학벌이 안좋아서그런지,,) 번번이 탈락의 고배를 마셔야 했다. 교수님들과 사전 컨텍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면접만 보고 들어왔기 때문에 쉽사리 도움을 구할 수도 없었다. 그래도 할 수 있는 모든 건 앞뒤 따지지 않고 도전했다. 그 결과, 다행히 1학기 시작 전 혼자 힘으로 조교 자리를 얻을 수 있었다. .. 2020. 4. 12.
계약직에서 정규직 되기4. 공부를 다시 시작하다(feat.대학원에 대한 오해) 새로운 시작 다사다난했던 회사 생활을 접고, 나는 새로운 도전을 시작했다. 한번 호되게 사회를 경험하고, 나만의 살길을 찾아야 했다. 오래전부터 나는 공부가 하고 싶었다. 그러나, 경제적인 상황 때문에 늘 학업을 계속 이어가야할지 고민을 하고 포기하기도 했다. 어차피 이렇게 된 인생, 내가 하고 싶은 공부나 원없이 해보고 싶어서 3년동안 고민했던 대학원 진학을 결심했다. 이미 몇년 전부터 고민했기 때문에, 몇개월동안 집중해서 자료와 면접 준비를 하였다. 그 결과, 운좋게 한번에 합격했다. 나는 대학원에서의 목표를 세웠다. 왜냐면, 4학기 안에 졸업을 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1학기 등록금이 600정도 했고, 생활비도 그렇고, 너무 늦은 나이에 대학원에 들어갔기에 4학기에 무.. 2020. 4. 5.
728x90
반응형
LIST